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k패스 카드 발급방법 알아보기

by 슈퍼론 2025. 6. 3.

매달 지출되는 대중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. k패스 카드를 통해 최대 월 53%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 k패스 카드 발급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 

 

 

k패스 카드 발급방법 알아보기
k패스 카드 발급방법 알아보기

 

 

k패스 카드란?

K-패스는 정부가 지원하는 대중교통비 환급 제도로,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에게 교통비의 일부를 환급해주는 서비스입니다.

기존 알뜰교통카드의 단점을 보완하여 출·도착 기록 없이도 자동으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개선되었습니다.

 

k패스 카드란?

 

k패스 카드 발급방법

 

 

1단계: 카드사 선택 및 카드 발급

K-패스는 국민, 농협, 신한, 현대, 우리, BC, 하나, 삼성, 기업, 케이뱅크, 광주은행 등 11개 카드사에서 발급 가능합니다.

신용카드, 체크카드, 선불카드 중 선택하여 발급받으실 수 있습니다.

2단계: K-패스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

카드 발급 후, K-패스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고 발급받은 카드의 번호를 등록하시면 됩니다.

이후부터는 별도의 인증 없이 대중교통 이용 실적이 자동으로 누적됩니다.

 

k패스 카드 발급방법

 

k패스 카드 종류 및 비교

현재 발급 가능한 K-패스 카드는 총 27종으로 카드사별로 다양한 혜택이 제공됩니다.

예를 들어 현대카드 Z 워크 에디션2는 생활 영역 10% 할인과 월 최대 5만 원 혜택을 제공하며 국민 K-패스 카드는 생활 영역 5% 할인과 월 최대 1만 5천 원 혜택을 제공합니다.

자신의 소비 패턴에 맞는 카드를 선택하여 최대한의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.

 

k패스 카드 종류 및 비교

 

k패스 혜택 및 환급률

K-패스를 통해 대중교통비 환급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 환급률은 이용자의 연령 및 소득 수준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.

  • 일반인(만 19세 이상): 20% 환급
  • 청년층(만 19~34세): 30% 환급
  • 저소득층: 최대 53.3% 환급

환급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적용되며 최대 월 60회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k패스 혜택 및 환급률

 

k패스 사용 가능한 교통수단

K-패스는 전국 대부분의 대중교통 수단에서 사용 가능합니다.

  • 사용 가능: 시내버스, 마을버스, 지하철, 광역버스, GTX, 신분당선
  • 사용 불가: 고속버스, 시외버스, 공항버스, KTX, SRT 등

단, 일부 지역에서는 사용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, 사용 전 해당 지역의 사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k패스 사용 가능한 교통수단

 

k패스 지역별 특화 혜택

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K-패스를 기반으로 지역 주민에게 추가 혜택을 제공하는 특화 카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

  • 더경기패스(경기도민 대상): 환급 대상 확대 및 이용 횟수 무제한 혜택 제공
  • 인천i패스(인천시민 대상): 지역 내 대중교통 이용 시 추가 혜택 제공
  • K패스-충남(충남도민 대상): 타 지역 교통수단 환승 시 추가 혜택 제공
  • 동백패스(부산시민 대상): 부산지역 대중교통 이용 시 사용액 4만 5천 원 초과 금액 환급

해당 지역 주민들은 K-패스 신청 시 주소지 인증을 통해 자동으로 지역 특화 혜택이 적용됩니다.

 

k패스 지역별 특화 혜택

 

k패스 교통카드 발급 시 유의사항

k패스 교통카드 발급 시 유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카드 발급 후 등록 필수: 카드 발급만으로는 혜택이 적용되지 않으며 반드시 K-패스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카드 등록을 완료해야 합니다.
  • 월 15회 이상 이용 조건: 환급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해야 합니다.
  • 환급 한도: 월 최대 60회까지 환급 혜택이 적용됩니다.
  • 사용 가능 교통수단 확인: 고속버스, 시외버스, 공항버스, KTX, SRT 등 일부 교통수단에서는 혜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.

 

자주 묻는 질문

Q1. K-패스 카드는 어디에서 발급받을 수 있나요?

A1. 국민, 농협, 신한, 현대, 우리, BC, 하나, 삼성, 기업, 케이뱅크, 광주은행 등 11개 카드사에서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.

 

Q2. K-패스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A2. 카드 발급 후, K-패스 공식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을 완료해야 혜택이 적용됩니다.

 

Q3. 환급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?

A3.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면, 익월 5영업일 이내에 환급금이 지급됩니다.

 

Q4. 기존 알뜰교통카드 사용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?

A4. 2024년 6월 30일까지 K-패스로 전환해야 하며, K-패스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전환 절차를 진행하시면 됩니다.

 

자주 묻는 질문

 

마무리

K-패스는 대중교통 이용자에게 실질적인 교통비 절감 혜택을 제공하는 제도입니다. 2025년 현재, 다양한 카드사에서 K-패스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으며, 지역별로 추가 혜택도 제공되고 있습니다.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분들은 K-패스를 통해 최대 53%까지 환급받을 수 있으니, 지금 바로 신청하여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.

 

 

 

 

반응형